베이커리카페 전공에서 운영하는 ‘대경대’ 빵오쇼콜라요? 캠퍼스에서는 ‘베이커리 배달의 민족’이라고 부르죠. “지역 농산물 활용한 사계절 케이크 내놓고, 커피와 디저트도 배달”
- 조회수
- 67
- 등록일
- 2025-07-14 15:43
디저트 카페, 케이크 전문점, 초콜릿 전문점, 아이스크림 전문점 등 제품별로 매장이 특화되고 전문화되는 추세다. 베이커리와 디저트 소비가 급격히 확대되는 가운데, 전공 학생들과 전문 교수들이 캠퍼스에서 직접 운영하는 ‘뺑오쇼콜라 베이커리’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대경대학교 본교 테마캠퍼스 정문에서 약 200미터 올라가면, 엑스포업스테이션(Exp Up Station)으로 운영되고 있는 뺑오쇼콜라 베이커리 간판이 들어왔다. 이곳 대표 시그니처 메뉴는 ‘DK케이크’로, 대경대 캠퍼스를 방문하는 시민들에게는 ‘필수 구매’ 아이템으로 알려져 있다. ‘DK케이크’는 경산 지역에서 재배된 신선한 과일을 활용해 개발된 제품으로, 소비자 평점도 높다.
복숭아, 사과, 자두, 대추 등 지역 농산물을 활용해 지역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디저트와 케이크를 판매하고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방문도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이 케이크는 지역 농산물을 기반으로 대경대학교가 지자체와 협력하여 개발한 상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베이커리카페전공 학생들과 전공 교수들이 함께 운영하는 이 캠퍼스 베이커리는 제품 기획부터 개발, 마케팅, 실제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은 재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교육 플랫폼이자 취창업을 위한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대경대만의 특화된 교육 모델이다. 학생들은 기초적인 베이킹 기술을 넘어 브랜드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을 원스톱으로 익히며 현장 역량을 키우고 있다.
식품학 박사인 이호상 교수(학과장)는 “베이커리 콘셉트부터 패키지 디자인, 판매 전략까지 전 과정을 학생들이 주도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실무 중심 교육환경은 대경대학교만의 강점이다. 이 학과는 최근 ‘배달의 민족’처럼 배달 서비스를 도입하여, 캠퍼스 내에서 빵과 케이크, 디저트, 커피를 직접 배달하는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뺑오쇼콜라 베이커리에서 실무를 익힌 학생들은 국내외 베이커리, 바리스타, 디저트 관련 대회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쌓고 있으며, 졸업 후에는 국내외 특급 호텔, 제과점, 커피 전문점, 식품회사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호텔조리학부 베이커리카페전공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총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한편, 베이커리카페전공은 1998년 ‘호텔제과제빵전공’으로 개설된 이후, 베이커리 산업 분야에서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해왔다. 2024년부터는 디저트식품 소비문화의 변화에 맞춰 학과 명칭을 ‘베이커리카페전공’으로 변경했다. 제과·제빵, 디저트, 바리스타(커피)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로 인기가 높다.
이 학과에는 이호상 교수 외에도 송수화 교수가 함께하고 있다. 송 교수는 현장 경험을 중시하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과를 졸업한 뒤 NAKAMURA ACADEMY와 동국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외식창업전공 석사 과정을 거쳤고, 다양한 외식 기업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아왔다.
빵오쇼콜라 캠퍼스 배달 서비스를 위해 배달의 민족과 유사한 배달 오토바이 한 두 대정도 캠퍼스에 도입된다면 신박한 아이디어 일 것 같았다.
대경대학교 본교 테마캠퍼스 정문에서 약 200미터 올라가면, 엑스포업스테이션(Exp Up Station)으로 운영되고 있는 뺑오쇼콜라 베이커리 간판이 들어왔다. 이곳 대표 시그니처 메뉴는 ‘DK케이크’로, 대경대 캠퍼스를 방문하는 시민들에게는 ‘필수 구매’ 아이템으로 알려져 있다. ‘DK케이크’는 경산 지역에서 재배된 신선한 과일을 활용해 개발된 제품으로, 소비자 평점도 높다.
복숭아, 사과, 자두, 대추 등 지역 농산물을 활용해 지역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디저트와 케이크를 판매하고 있다는 입소문이 퍼지면서 일반 소비자들의 방문도 꾸준히 늘고 있다. 특히 이 케이크는 지역 농산물을 기반으로 대경대학교가 지자체와 협력하여 개발한 상품이라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베이커리카페전공 학생들과 전공 교수들이 함께 운영하는 이 캠퍼스 베이커리는 제품 기획부터 개발, 마케팅, 실제 판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은 재학생들에게 실무 중심의 교육 플랫폼이자 취창업을 위한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대경대만의 특화된 교육 모델이다. 학생들은 기초적인 베이킹 기술을 넘어 브랜드 운영의 전반적인 과정을 원스톱으로 익히며 현장 역량을 키우고 있다.
식품학 박사인 이호상 교수(학과장)는 “베이커리 콘셉트부터 패키지 디자인, 판매 전략까지 전 과정을 학생들이 주도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이러한 실무 중심 교육환경은 대경대학교만의 강점이다. 이 학과는 최근 ‘배달의 민족’처럼 배달 서비스를 도입하여, 캠퍼스 내에서 빵과 케이크, 디저트, 커피를 직접 배달하는 시스템도 운영 중이다.
뺑오쇼콜라 베이커리에서 실무를 익힌 학생들은 국내외 베이커리, 바리스타, 디저트 관련 대회에서 다수의 수상 경력을 쌓고 있으며, 졸업 후에는 국내외 특급 호텔, 제과점, 커피 전문점, 식품회사 등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다. 호텔조리학부 베이커리카페전공은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총 40명의 신입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한편, 베이커리카페전공은 1998년 ‘호텔제과제빵전공’으로 개설된 이후, 베이커리 산업 분야에서 수많은 졸업생을 배출해왔다. 2024년부터는 디저트식품 소비문화의 변화에 맞춰 학과 명칭을 ‘베이커리카페전공’으로 변경했다. 제과·제빵, 디저트, 바리스타(커피)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로 인기가 높다.
이 학과에는 이호상 교수 외에도 송수화 교수가 함께하고 있다. 송 교수는 현장 경험을 중시하며, 우송대학교 외식조리학과를 졸업한 뒤 NAKAMURA ACADEMY와 동국대학교 호텔관광경영학과 외식창업전공 석사 과정을 거쳤고, 다양한 외식 기업에서 풍부한 실무 경험을 쌓아왔다.
빵오쇼콜라 캠퍼스 배달 서비스를 위해 배달의 민족과 유사한 배달 오토바이 한 두 대정도 캠퍼스에 도입된다면 신박한 아이디어 일 것 같았다.